공휴일,일요일 : 휴진 / ***업무종료 30분 전까지 접수마감***
02-846-0075
Fax. 02-846-0076
소아·청소년 비만 기준, 성인과 달라...왜
세계보건기구(WHO)는 전 세계적으로 소아청소년 비만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했다. 한국도 마찬가지다. 국내 6~18세인 소아청소년 5명 중 1명은 과체중 및 비만이다.소아청소년 비만 진단법성인 비만 진단과 마찬가지로 소아청소년 비만을 진단할 때도 '체질량지수(BMI, Body Mass Index)'를 사용한다. 체질량지수란 검사자의 몸무게(kg)를 키의 제곱(m²)으로 나눈 값이다.- BMI= 체중(kg)/ 신장(m)ⅹ신장(m) 하이닥 소아청소년과 상담의사 현민숙 원장(현민숙 소아과의원)은 "성인의 경우 BMI가 25 이상이면 비만이라고 진단한다. 그러나 소아청소년에서는 연령에 따라 키, 체중, 신체조성의 변동이 있기에 성인에서처럼 비만 진단에 체질량지수를 쉽게 적용할 수 없다"고 말했다.따라서 만 2세 이상의 소아청소년 비만을 진단할 때는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'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'를 기준으로 연령별, 성별 체질량지수 백분위수를 사용한다. 백분위수란 무엇일까. 현민숙 원장은 "전체 집단을 변수 값의 크기에 따라 정렬한 뒤 100등분 했을 때, 몇 번째에 해당하는지 나타내는 값"이라며 "일례로 키의 97 백분위수는 100명 중에서 키가 97번째에 해당하는 큰 키"라고 말했다.- 소아청소년 기준· 과체중: 연령별 체질량지수 기준 85 백분위수 이상~95 백분위수 미만· 비만: 연령별 체질량지수 기준 95 백분위수 이상